top of page

사각턱재건·턱끝재건 복합 윤곽재건: 윤곽3종 수술 후 복원사례 분석

  • 작성자 사진: Dr. Park
    Dr. Park
  • 11월 10일
  • 3분 분량

안녕하십니까.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박종철 원장입니다.


최근 안면윤곽수술의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술 후 심미적 불만족이나 기능적 문제로 인해 윤곽재건을 고려하는 분들 또한 늘고 있습니다. 재건 수술은 첫 수술보다 고려해야 할 변수가 많고 고난도 수술에 속합니다.


오늘은 과거 윤곽3종 수술(광대, 사각턱, 턱끝) 후 발생한 심미적 불만족을 해결하기 위해, 복합적인 윤곽재건을 시행한 사례를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해 드리고자 합니다.

광대뼈재배치, 동종골이식, 맞춤형 티타늄 및 실리콘 보형물이 복합적으로 사용된 본 사례는, 특히 사각턱재건이나 턱끝재건을 포함한 포괄적인 복원 과정을 고민하는 분들께 유용한 정보가 될 것입니다.


환자 분석 및 윤곽재건 목표

환자분은 과거 윤곽3종 수술을 받은 이력이 있었습니다. 술전 3D CT 및 안모 분석 결과, 턱끝은 갸름한 편이었으나 옆턱(Lateral chin) 부위가 움푹 패인 양상(Lateral depression)이 관찰되었으며, 이로 인해 턱선이 매끄럽게 이어지지 않았습니다.

환자분께서는 현재의 사각턱과 광대뼈 부위 윤곽선을 조금 더 또렷하고 볼륨감 있게 복원하기를 희망하셨습니다.

수술 전 환자분의 상태를 보여주는 3D CT 연조직 및 골격 이미지
수술 전 환자분의 상태를 보여주는 3D CT 연조직 및 골격 이미지

사각턱·턱끝·광대 복합 윤곽재건 수술 계획

환자분의 주관적인 요구와 3D CT를 통한 객관적인 골격 상태를 정밀 분석하여, 세 부위에 대한 복합 윤곽재건을 계획하였습니다.


1. 광대 및 사각턱재건 디자인


광대 부위는 기존 뼈를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는 광대재배치술을 시행하고, 뼈와 뼈 사이의 틈(Gap)과 계단 현상(Step-off)을 보완하기 위해 동종골 이식을 병행하여 자연스러운 볼륨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사각턱재건은 환자분의 심미적 개선 요구를 반영하여 3D 디자인된 맞춤형 티타늄 보형물을 이용, 과거 절제되었던 턱뼈 부위를 복원하기로 계획했습니다.

광대재배치 및 사각턱 티타늄 보형물을 이용한 재건 디자인 (정면, 축면)
광대재배치 및 사각턱 티타늄 보형물을 이용한 재건 디자인 (정면, 축면)

2. 턱끝재건 디자인


광대 및 사각턱재건 디자인을 먼저 확정한 후, 얼굴 전체의 균형을 고려하여 턱끝재건 디자인을 진행했습니다. 턱끝은 맞춤형 실리콘 보형물을 사용하여, 주로 문제가 되었던 옆턱 패임 부위의 볼륨을 정밀하게 보강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맞춤형 실리콘 보형물을 이용한 턱끝 복원 디자인 (정면, 축면)
맞춤형 실리콘 보형물을 이용한 턱끝 복원 디자인 (정면, 축면)

윤곽재건 수술 6개월 후 결과 (골조직 및 연조직 비교)

재건 수술 6개월 후 3D CT를 촬영하여, 골조직 및 연조직 변화를 술전 상태와 객관적으로 비교 분석했습니다.

CT 이미지상 사각턱재건에 사용된 티타늄 보형물과 이동된 광대뼈의 고정 상태는 명확하게 확인됩니다. (단, 턱끝재건에 사용된 실리콘 보형물은 방사선 투과 특성상 일반적인 CT 설정에서는 뚜렷하게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재건 전과 재건 6개월 후의 3D CT 비교. 광대와 사각턱 부위의 볼륨이 계획대로 복원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재건 전과 재건 6개월 후의 3D CT 비교. 광대와 사각턱 부위의 볼륨이 계획대로 복원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조직 변화를 비교한 결과, 술전 관찰되었던 옆턱 패임(Lateral depression)이 개선되었으며, 사각턱과 광대 부위의 볼륨이 환자분의 심미적 요청에 맞게 자연스럽게 증가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수술 전과 재건 6개월 후의 연조직 변화 비교
수술 전과 재건 6개월 후의 연조직 변화 비교
객관적 데이터로 본 광대 복원량 분석

윤곽재건 수술은 이처럼 객관적인 데이터 분석을 통해 결과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광대 복원량을 시각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재건 6개월 후의 연조직 윤곽선(노란색)을 술전 이미지에 중첩하였습니다.

재건 후 6개월 연조직 윤곽선(노란색)을 술전 이미지(좌측)에 중첩하여 광대 부위의 볼륨 증가를 시각적으로 비교한 모습
재건 후 6개월 연조직 윤곽선(노란색)을 술전 이미지(좌측)에 중첩하여 광대 부위의 볼륨 증가를 시각적으로 비교한 모습

또한, CT 단면 이미지를 통해 뼈의 실제 이동량과 그에 따른 연조직의 변화량을 정밀하게 측정했습니다.

  • 우측 광대: 뼈 4.34mm 이동 / 연조직 3.40mm 확장 (반영률 78.34%)

  • 좌측 광대: 뼈 4.45mm 이동 / 연조직 3.75mm 확장 (반영률 84.26%)

CT 단면 이미지를 통해 재건 전후 뼈의 실제 이동량과 그에 따른 연조직의 변화량을 정밀하게 측정
 CT 단면 이미지를 통해 재건 전후 뼈의 실제 이동량과 그에 따른 연조직의 변화량을 정밀하게 측정

[Clinical Point] 광대 재건 시 동종골 이식이 필요한 이유


이번 윤곽재건 사례처럼 광대재위치술을 이용해 뼈를 바깥으로 이동시켜 재건할 경우, 뼈와 뼈 사이에 틈이 생기거나 '뼈계단현상'(step-off deformity)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부위를 매끄럽고 자연스럽게 연결하기 위해 동종골(Allograft) 이식을 동반하여 뼈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뼈 유합을 유도했습니다.

광대재건술 시 발생할 수 있는 뼈계단현상(붉은 화살표)과, 이를 보완하기 위한 골이식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이미지
광대재건술 시 발생할 수 있는 뼈계단현상(붉은 화살표)과, 이를 보완하기 위한 골이식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이미지

결론: 사각턱재건·턱끝재건, 복합적 접근의 중요성

본 사례는 윤곽3종 수술 후 발생한 심미적 불만족을 해결하기 위해, 광대(광대재배치+동종골), 사각턱(티타늄), 턱끝(실리콘) 부위를 각기 다른 재료와 방법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동시에 재건한 케이스입니다.

사각턱재건이나 턱끝재건 등 복합적인 윤곽재건을 고려할 때는, 이처럼 환자의 현재 골격 상태와 연조직 특성, 그리고 심미적 필요에 맞는 최적의 재료(자가골, 동종골, 티타늄, 실리콘 등)와 수술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무엇보다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밀하게 계획하고 실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박종철 원장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사각턱재건·턱끝재건 복합 윤곽재건
사각턱재건·턱끝재건 복합 윤곽재건

사각턱재건 턱끝재건 복합 윤곽재건

사각턱재건 턱끝재건 복합 윤곽재건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