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광대재수술, 보형물 vs 뼈이식? 전문의가 실제 사례로 비교하는 광대재위치술과 광대보형물

  • 작성자 사진: Dr. Park
    Dr. Park
  • 7일 전
  • 3분 분량

안녕하십니까?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박종철 원장입니다.

광대축소술 후, 의도치 않게 절골 부위에 뼈가 완전히 유합되지 않아 골결손(bone defect)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피부가 얇은 분들의 경우, 이러한 골결손 부위가 외관상 함몰되어 보이거나 그림자가 지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광대축소술 후 발생한 약 10mm 폭의 광대뼈 골결손(빨간 원)을 보여주는 3D CT 이미지.
광대축소술 후 발생한 약 10mm 폭의 광대뼈 골결손(빨간 원)을 보여주는 3D CT 이미지.

골결손 부위에 해당하는 외부 피부의 함몰(빨간 화살표)을 보여주는 이미지.
골결손 부위에 해당하는 외부 피부의 함몰(빨간 화살표)을 보여주는 이미지.

이처럼 이전 수술로 인해 발생한 광대뼈 결손을 복원하고 재건하는 광대재수술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바로 광대보형물을 이용하는 방법과, 광대재위치술 및 골이식을 병행하는 방법입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광대재수술 방법의 장점과 단점을 제가 직접 집도한 실제 수술 사례를 통해 객관적으로 설명해 드리고자 합니다.



1. 맞춤형 광대보형물을 이용한 광대재수술

첫 번째 방법은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의 골결손 부위에 정확하게 맞는 맞춤형 보형물을 제작하여 삽입하는 것입니다. 주로 사용되는 재료는 티타늄, PEEK, 실리콘 등이며, 수술 전 3D CT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밀하게 디자인하여 제작합니다.


장점


  • 정밀성: 3D 프린팅으로 제작되어 결손 부위에 오차 없이 정확하게 맞습니다.

  • 짧은 수술 시간: 뼈를 채취하거나 재위치시키는 과정이 없어 비교적 수술 시간이 짧습니다.

  • 예측 가능성: 삽입 즉시 형태가 복원되며, 흡수되거나 변형될 우려가 적어 복원된 모습이 지속적으로 유지됩니다.


단점


  • 이물 반응: 자가 조직이 아니므로 드물게 이물 반응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 영상 왜곡: 티타늄 소재의 경우, 향후 CT나 MRI 촬영 시 금속 인공물(artifact)로 인한 영상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 광대보형물을 이용한 복원



광대보형물을 이용한 재수술 환자의 수술 전 3D CT. 약 10mm의 골결손이 명확히 관찰됩니다.
광대보형물을 이용한 재수술 환자의 수술 전 3D CT. 약 10mm의 골결손이 명확히 관찰됩니다.

이전 광대축소술로 인해 약 10mm 너비의 상당한 골결손이 발생한 상태였습니다. 이 결손 부위를 정확하게 복원하기 위해 3D 모델링을 통해 맞춤형 광대보형물을 디자인하고 삽입하여, 매끄럽고 자연스러운 광대 라인을 성공적으로 재건하였습니다.

결손 부위를 정밀하게 복원하기 위해 디자인된 맞춤형 광대보형물의 정면 디자인.
결손 부위를 정밀하게 복원하기 위해 디자인된 맞춤형 광대보형물의 디자인.
맞춤형 광대보형물의 측면 디자인.
맞춤형 광대보형물의 측면 디자인.
광대보형물 삽입 후 골결손이 완벽하게 복원된 수술 후 3D CT (정면
광대보형물 삽입 후 골결손이 복원된 수술 후 3D CT (정면
매끄럽게 복원된 광대 라인을 보여주는 수술 후 3D CT (측면).
복원된 광대 라인을 보여주는 수술 후 3D CT (측면).
2. 광대재위치술 및 골이식을 이용한 광대재수술

두 번째 방법은 기존의 광대뼈를 다시 절골하여 이상적인 위치로 이동시키는 광대재위치술을 시행하고, 이후에도 남아있는 골결손 부위는 다른 부위의 뼈(자가골 또는 동종골)를 이식하여 채워주는 방식입니다. 자가골은 주로 아래턱뼈나 엉덩이뼈에서 채취하며, 상품화된 동종골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장점


  • 생체 친화성: 자가골은 물론, 동종골을 사용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자신의 뼈로 대체되기 때문에 생물학적으로 매우 안전합니다.


단점


  • 골흡수 가능성: 이식된 뼈는 우리 몸의 자연스러운 생리적 골개조(bone remodeling) 과정을 거치면서 일부 흡수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수술 시 계획했던 볼륨과 최종 결과 사이에 미세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상대적으로 긴 수술 시간: 뼈를 재위치시키고 이식하는 과정이 추가되어 수술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 광대재위치술과 동종골 이식을 이용한 복원

광대재위치술 및 골이식 환자의 수술 전 3D CT. 골결손 부위(빨간 원)가 확인됩니다.수술 8개월 후, 이식된 뼈가 성공적으로 유합되어 골결손이 복원된 3D CT 이미지.
광대재위치술 및 골이식 환자의 수술 전 3D CT. 골결손 부위(빨간 원)가 확인됩니다.수술 8개월 후, 이식된 뼈가 성공적으로 유합되어 골결손이 복원된 3D CT 이미지.

광대재위치술을 통해 45도 광대와 옆광대를 측면으로 확장하여 볼륨을 회복시키고, 남아있는 골결손 부위는 동종골을 이식하여 복원한 사례입니다. 수술 후 8개월째 촬영한 3D CT에서 골결손 부위가 자신의 뼈로 성공적으로 재생되었으며, 연조직 볼륨 역시 자연스럽게 회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광대재위치술을 통해 45도 광대와 옆광대가 측면으로 확장된 것을 보여주는 측면 CT 이미지.수술 전 이미지에 수술 후 8개월의 골격선(빨간색)과 연조직선(노란색)을 중첩하여 45도 볼륨이 회복되었음을 보여주는 비교 이미지.
광대재위치술을 통해 45도 광대가 측면으로 확장된 것을 보여주는 45도 측면 CT 이미지. 수술 전 이미지에 수술 후 8개월의 골격선(빨간색)과 연조직선(노란색)을 중첩하여 45도 볼륨이 회복되었음을 보여주는 비교 이미지.

결론: 나에게 맞는 광대재수술 방법은?

정리하자면, 광대보형물을 이용한 광대재수술은 예측 가능성이 높고 수술이 비교적 간단하지만 이물질이라는 한계가 있습니다. 반면, 광대재위치술과 골이식은 자신의 조직으로 회복된다는 생물학적 장점이 있지만, 일부 골흡수라는 변수를 고려해야 합니다.

어느 한 가지 방법이 절대적으로 우월하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환자의 골결손 정도와 양상, 남아있는 뼈의 상태, 그리고 환자가 원하는 장기적인 목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광대뼈 결손으로 인한 광대재수술을 고민하고 계신다면, 반드시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와의 심층 상담 및 3D CT를 통한 정밀 진단을 통해 본인에게 최적화된 수술 계획을 세우시길 바랍니다.

광대재수술, 보형물 vs 뼈이식? 전문의가 실제 사례로 비교하는 광대재위치술과 광대보형물
광대재수술, 보형물 vs 뼈이식? 전문의가 실제 사례로 비교하는 광대재위치술과 광대보형물

광대재수술, 보형물 vs 뼈이식? 전문의가 실제 사례로 비교하는 광대재위치술과 광대보형물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