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악수술부작용 예방, 정교한 계획을 넘어 정확한 실행이 핵심입니다
- Dr. Park
- 2일 전
- 3분 분량
안녕하십니까?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박종철 원장입니다.
많은 분들이 양악수술을 결정하기에 앞서 양악수술부작용에 대한 걱정을 하십니다. 이러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한 첫걸음은 의심할 여지 없이 치밀하고 정교한 수술 계획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완벽에 가까운 계획을 세운다 하더라도, 그 계획이 수술 과정에서 그대로 실현되지 않는다면 의미가 퇴색될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계획된 양악수술과정이 실제 수술에서 얼마나 정확하게 반영되는지, 그리고 그 정확성을 높여 만족스러운 양악수술후 결과를 얻기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심도 있게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정확한 양악수술과정의 시작: 절골선 디자인과 맞춤형 금속판
성공적인 양악수술의 첫 단추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정밀한 절골선 디자인에서 시작됩니다.

가상 수술 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의 골격 구조에 가장 이상적인 절골선을 설정한 후, 계획된 위치와 각도대로 뼈를 이동시키는 시뮬레이션을 진행합니다.
이 계획을 실제 수술에 그대로 옮기기 위해, 이동된 뼈를 단단히 고정해 줄 환자 맞춤형 금속판(Titanium Plate)을 제작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뼈를 자르고 이동시켜 금속판으로 고정하는 것만으로는 계획을 완벽하게 재현하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수술 중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오차까지 제어하기 위해, 저희는 수술 가이드를 추가적으로 디자인하여 활용합니다.
수술 전 시뮬레이션 단계에서 상악에 16개, 하악에 8개의 스크류홀(나사 구멍) 위치를 미리 지정해두고, 수술 시 이 가이드를 통해 맞춤형 금속판이 단 하나의 오차도 없이 계획된 위치에 정확히 안착하도록 돕습니다.
양악수술후 결과, CT가 아닌 STL 이미지로 비교해야 하는 이유
양악수술후 결과를 평가할 때, 많은 분들이 수술 전후의 CT 영상을 비교하여 확인하고는 합니다. 하지만 이는 정확한 평가 방법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우리가 수립하는 모든 수술 계획과 시뮬레이션은 단순 CT 영상이 아니라, CT 데이터를 3차원 표면 모델로 가공한 'STL(Standard Tessellation Language)' 파일을 기반으로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계획과 실제 결과의 오차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술 전 계획 STL 데이터와 양악수술후 촬영한 CT를 변환한 STL 데이터를 중첩하여 비교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실제 양악수술 후 오차 분석: 평균 0.29 mm의 의미
환자 맞춤형 금속판과 수술 가이드를 사용하더라도, 수술 과정에서 100% 완벽한 일치는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실제 오차는 어느 정도 발생할까요?

제가 직접 수술한 이번 사례 환자분의 경우, 수술 전 계획과 양악수술후 실제 결과 사이의 오차는 절대값으로 환산하여 평균 0.29mm로 나타났습니다. 0.29mm라는 수치는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유발하거나 양악수술부작용으로 간주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며, 매우 정교하게 계획이 실행되었음을 보여주는 객관적인 지표입니다.
양악수술부작용 예방의 핵심, 환자 맞춤형 금속판의 장점
집도의는 양악수술에 대한 깊은 해부학적 지식과 풍부한 임상 경험을 갖추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의 손으로 완벽한 계획을 오차 없이 재현하는 데에는 본질적인 한계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술후 오차 분석을 했을 때, 계획과 실제 수술 결과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는 일반적인 이유입니다.
이러한 오차를 최소화하고, 불유합(뼈가 붙지 않음), 과두 위치 이상, 신경관 손상과 같은 중대한 양악수술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환자 맞춤형 금속판의 적용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과거 교합 장치인 웨이퍼(Wafer)에만 의존하던 기존의 디지털 양악수술 방식보다 한 차원 더 나아가, 수술 계획을 훨씬 더 정밀하게 현실로 구현할 수 있는 진보된 방법입니다.
결론: 계획대로 수술하기 위해 환자분들이 고려할 사항
환자분들께서 받으시는 양악수술이 생애 마지막 수술이 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신중하게 고려하시길 바랍니다.
양악수술과정에서 웨이퍼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상에서 보이는 뼈의 이동은 이상적인 모습일 뿐, 실제 수술에서는 연조직의 저항 등 다양한 변수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웨이퍼에만 의존하는 방식은 계획을 재현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오차를 줄이고 양악수술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환자 맞춤형 금속판이 필요합니다. 이는 정교하게 세운 수술 계획을 실제 수술에서 그대로 재현하고, 양악수술후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잠재적 위험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양악수술을 고려하고 계신 환자분들께서는, 상담 과정에서 해당 병원이 정밀한 수술 계획을 세우는 것은 물론, 그 계획을 수술실에서 오차 없이 재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과 장치(환자 맞춤형 금속판, 수술 가이드 등)를 갖추고 있는지를 반드시 확인하시길 권유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