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안면윤곽 수술 3종 임상 분석: 뼈를 깎으면 실제 얼굴은 얼마나 작아질까?

  • 작성자 사진: Dr. Park
    Dr. Park
  • 4일 전
  • 3분 분량

안녕하십니까?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박종철입니다.

오늘 분석할 임상 사례는 여성 환자분을 대상으로 시행한 안면윤곽 수술 3종(광대축소술, 사각턱수술, 턱끝수술) 케이스입니다.

안면윤곽 수술을 고려하는 많은 분들이 "뼈를 깎으면 살은 얼마나 들어가는지", "시간이 지나면 뼈는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해 궁금해하십니다. 단순히 수술 전후의 외형 변화만을 비교하는 것을 넘어, 수술 전, 수술 후 7개월(금속판 제거 시점), 그리고 수술 후 2년째의 3D CT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음 세 가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했습니다.


  1. 광대축소술 시 계획된 이동량과 실제 수술 후 뼈 이동량의 차이

  2. 뼈가 이동한 만큼 실제 연조직(살)은 얼마나 축소되는지

  3. 금속판 제거(핀제거) 후 장기적인 뼈의 치유 및 리모델링(Remodeling) 양상


이 글이 안면윤곽 수술 3종을 계획하며 객관적인 수치와 의학적 근거를 확인하고자 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수술 전 진단 및 수술 계획

성공적인 수술 결과를 위해서는 환자의 고유한 해부학적 구조를 정밀하게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환자분의 외형 사진과 3D CT를 분석하여 신경선의 위치, 뼈의 두께, 비대칭 여부를 확인한 후 다음과 같이 수술을 계획했습니다.

안면윤곽 수술 3종 전 환자의 정면 및 측면 사진. 전체적인 얼굴 비율과 윤곽 라인 진
안면윤곽 수술 3종 전 환자의 정면 및 측면 사진. 전체적인 얼굴 비율과 윤곽 라인 진

수술 전 3D CT 분석 영상. 신경선 위치, 뼈 두께, 안면 비대칭 정밀 진단
수술 전 3D CT 분석 영상. 뼈 두께, 안면 비대칭 정밀 진단

수술 계획 요약 (Surgical Plan)

  • 턱끝 수술 (T절골술): 턱끝의 길이나 전후방 위치는 유지하면서, 좌우 폭을 5mm 축소하여 정면에서 갸름한 라인을 유도.

  • 사각턱 수술: 귀밑각부터 긴곡선 절제술을 시행하며, 정면 효과 증대를 위해 피질골 절제를 병행.

  • 광대축소술:

    • 45도 광대 절제량: 3mm

    • 45도 광대 이동량 (금속판 규격 기준): 3mm

    • 옆광대 이동량 (금속판 규격 기준): 7mm


2. 수술 후 7개월: 금속판 제거 및 골유합 확인

수술 후 7개월이 경과한 시점에서 고정에 사용했던 금속판을 제거(핀제거)하였습니다. 이 시기에 촬영한 CT를 통해 절골된 뼈가 완전히 붙었는지(골유합)를 확인합니다.


안면윤곽 수술 3종 시행 7개월 경과 후 임상 사진
안면윤곽 수술 3종 시행 7개월 경과 후 임상 사진


수술 후 7개월 및 금속판 제거(핀제거) 직전 촬영한 3D CT. 광대와 턱끝 부위의 완전한 골유합 확인
수술 후 7개월 및 금속판 제거(핀제거) 직전 촬영한 3D CT. 광대와 턱끝 부위의 골유합 확인

CT 분석 결과, 광대와 턱끝의 절골 부위 모두 뼈가 안정적인 위치에서 유합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안전하게 금속판 제거를 시행했습니다.


3. 핵심 분석: 뼈 이동량 vs 연조직(살) 변화량

"뼈를 5mm 줄이면 얼굴도 5mm 작아지는가?"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단면 분석(Cross-sectional analysis)을 시행했습니다.


① 옆광대 부위 분석


옆광대 부위의 CT 단면을 통해 실제 뼈가 이동한 거리와 피부 표면(연조직)이 줄어든 수치를 중첩하여 비교했습니다.

옆광대 축소술 후 뼈 이동량과 연조직 변화량 비교 분석 CT. 뼈 이동량 대비 연조직은 약 60~70% 반응
옆광대 축소술 후 뼈 이동량과 연조직 변화량 비교 분석 CT. 뼈 이동량 대비 연조직은 약 60~70% 반응

  • 사용된 금속판 규격(이동 목표): 7mm

  • 실제 뼈 이동량: 우측 4.76mm / 좌측 3.85mm

  • 연조직(살) 축소량: 우측 2.76mm / 좌측 2.52mm


분석 결과: 금속판을 이용해 뼈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더라도 실제 계측된 뼈의 이동량은 금속판 규격보다 적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연조직의 변화량은 뼈 이동량의 약 60~70%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


② 45도 광대 부위 분석


동일한 방식으로 45도 광대 부위의 단면을 분석했습니다.

45도 광대 축소술 단면 분석 데이터. 뼈 절제 및 이동에 따른 실제 연조직 변화량 측정
45도 광대 축소술 단면 분석 데이터. 뼈 절제 및 이동에 따른 실제 연조직 변화량 측정

  • 사용된 금속판 규격(이동 목표): 3mm

  • 실제 뼈 이동량: 우측 3.88mm / 좌측 2.82mm

  • 연조직(살) 축소량: 우측 3.03mm / 좌측 2.10mm


분석 결과: 45도 광대 부위 역시 뼈의 이동량과 연조직의 변화량이 1:1로 대응하지 않습니다. 이는 피부의 두께, 탄력도, 근육의 개입 등 다양한 연조직 변수가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4. 수술 후 2년: 장기적 안정성 및 골재형성 (Remodeling)

안면윤곽 수술 3종 시행 후 2년이 지난 시점의 CT입니다. 금속판 제거 이후 뼈의 장기적인 변화 양상을 확인했습니다.

안면윤곽 수술 2년 경과 3D CT. 금속판 제거 후 매끄럽게 리모델링된 뼈의 상태와 장기적 안정성 확인
안면윤곽 수술 2년 경과 3D CT. 금속판 제거 후 매끄럽게 리모델링된 뼈의 상태와 장기적 안정성 확인


안면윤곽 수술 2년 경과 3D CT. 금속판 제거 후 매끄럽게 리모델링된 뼈의 상태와 장기적 안정성 확인
안면윤곽 수술 2년 경과 3D CT. 금속판 제거 후 매끄럽게 리모델링된 뼈의 상태와 장기적 안정성 확인

장기 경과 분석: 금속판 제거 후에도 절골 부위는 매끄럽게 다듬어지는 재형성(Remodeling) 과정을 거쳤습니다. 사각턱 부위에서 미세한 뼈 자람(Bone regrowth) 현상이 관찰되나, 이는 생리적인 치유 과정의 일부입니다. 실제 얼굴 외형이나 윤곽 라인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수준이며, 비대칭이나 함몰 없이 안정적인 결과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결론 및 요약

이번 안면윤곽 수술 3종 케이스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임상적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1. 연조직의 반응성: 안면윤곽 수술 후 얼굴이 작아지는 효과(연조직 변화)는 실제 뼈가 이동한 양보다 적게 나타나며, 부위별로 그 비율은 다를 수 있습니다.

  2. 이동량의 차이: 수술 시 사용하는 금속판의 규격(Plan)과 수술 후 CT 상에서 측정되는 실제 뼈 이동량(Actual)에는 차이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3. 장기적 안정성: 금속판을 제거한 후에도 뼈는 자가 리모델링 과정을 거쳐 매끄럽고 안정적으로 회복됩니다.

정확한 수술 계획 수립은 물론, 수술 후에도 CT 분석을 통해 결과를 객관적으로 검증(Verification)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환자분들이 안심할 수 있는 과학적인 진료와 분석을 이어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면윤곽 수술 3종 임상 분석: 뼈를 깎으면 실제 얼굴은 얼마나 작아질까
안면윤곽 수술 3종 임상 분석: 뼈를 깎으면 실제 얼굴은 얼마나 작아질까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