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양악수술 후 비대칭 재발 방지를 위한 골이식

  • 작성자 사진: Dr. Park
    Dr. Park
  • 9월 29일
  • 3분 분량

안녕하십니까?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박종철입니다.

많은 분들께서 양악수술을 통해 얼굴의 비대칭을 개선하고, 조화로운 얼굴 균형을 되찾기를 희망하십니다. 성공적인 양악수술은 다음의 세 가지 핵심 요소를 모두 충족시켜야 합니다.

  • 수술 계획의 적절성: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최적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입니다.

  • 수술 실행의 정확성: 정교하게 세운 계획을 오차 없이 수술로 구현해내는 집도의의 기술력입니다.

  • 수술 결과의 지속성: 수술 후 시간이 흘러도 만족스러운 결과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입니다.

오늘은 이 세 가지 요소 중, 많은 환자분들께서 가장 우려하시는 '수술 결과의 지속성', 즉 양악수술후비대칭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에 대해 실제 증례와 함께 깊이 있게 설명해 드리고자 합니다.


양악 비대칭 재발의 시작점, '골 결손 부위'

얼굴 비대칭을 바로잡기 위해 3D 시뮬레이션으로 정교한 수술 계획을 세우다 보면, 뼈를 이상적인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공간, 즉 '골 결손 부위'를 확인하게 됩니다. 이는 비대칭을 개선하는 과정에서 피하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이미지 1 설명: 수술 전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된 상악의 골 결손 예상 부위 (빨간색 원)입니다. 뼈가 이동하면서 해당 부위에 빈 공간이 생길 것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설명: 수술 전 3D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된 상악의 골 결손 예상 부위 (빨간색 원)입니다. 뼈가 이동하면서 해당 부위에 빈 공간이 생길 것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골 결손 부위가 튼튼하게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수술이 마무리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우리의 턱뼈는 생각보다 강한 힘을 지속적으로 견뎌내야 합니다.

  • 식사 시 발생하는 반복적인 저작력

  • 수면 중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는 강력한 이갈이 습관

이러한 하중이 새롭게 위치한 턱뼈에 계속 가해질 때, 지지 기반이 약한 골 결손 부위는 그 힘을 이기지 못하고 미세하게 변형될 수 있습니다. 이는 곧 양악수술후비대칭 재발이라는 안타까운 결과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원인이 됩니다.


비대칭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 디지털 시스템을 활용한 골이식

이러한 양악비대칭 재발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는 디지털 양악 시스템을 활용하여 보다 정밀한 해결책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바로 '환자 맞춤형 금속판''골이식'을 병행하는 것입니다.

이미지 3 설명: 디지털 양악 수술 시스템을 이용하여 환자 맞춤형으로 디자인된 견고한 고정 금속판의 모습입니다.
이미지 설명: 디지털 양악 수술 시스템을 이용하여 환자 맞춤형으로 디자인된 견고한 고정 금속판의 모습입니다.

정밀한 예측을 통해 확인된 골 결손 부위가 안정적으로 채워질 수 있도록, 환자 개인에게 최적화된 디자인의 고정 금속판을 제작합니다. 이 금속판은 단순히 뼈를 고정하는 역할을 넘어, 해당 부위에 골이식을 안정적으로 시행하고 이식된 뼈가 새로운 환경에서 잘 유지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특화 설계됩니다.

이미지 설명: 환자에게 특화된 금속판 디자인을 통해 골 결손 부위에 정확한 골이식을 계획하는 과정입니다.
이미지 설명: 환자에게 특화된 금속판 디자인을 통해 골 결손 부위에 정확한 골이식을 계획하는 과정입니다.

증례로 확인하는 결과의 지속성: 5개월 후 CT 변화

위와 같은 계획하에 골이식을 동반한 비대칭 양악수술을 시행한 환자분의 수술 전, 그리고 수술 후 5개월 경과 3D CT 사진입니다.

이미지 설명: 수술 전과 수술 후 5개월 경과 시점의 3D CT 사진입니다. 계획대로 비대칭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설명: 수술 전과 수술 후 5개월 경과 시점의 3D CT 사진입니다. 계획대로 비대칭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골격적 기준선에 맞추어 비대칭이 만족스럽게 개선되었음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 주목해야 할 부분은 골 결손 부위의 변화입니다. 수술 계획 시뮬레이션에서 관찰되었던 상악 좌측의 골 결손 부위가, 수술 후 5개월 시점의 CT에서는 새로운 뼈로 단단하게 연결되어 채워진 것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튼튼한 지지 기반이 성공적으로 마련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이미지 설명: 수술 후 5개월 차 CT에서, 수술 계획 시 예상되었던 상악 좌측 골 결손 부위(노란 타원)가 새로운 뼈로 단단하게 연결된 것이 관찰됩니다.
이미지 설명: 수술 후 5개월 차 CT에서, 수술 계획 시 예상되었던 상악 좌측 골 결손 부위(노란 타원)가 새로운 뼈로 단단하게 연결된 것이 관찰됩니다.

양악수술후비대칭 재발 여부를 가장 객관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은 수술 직후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의 결과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수술 직후인 3일 차 CT와 5개월 차 CT를 중첩하여 비교한 결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의미 있는 비대칭의 회귀(재발)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골이식을 통해 뼈의 안정적인 기반을 마련한 것이 결과의 지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명확히 시사합니다.

이미지 설명: 수술 직후(좌)와 수술 후 5개월(우)의 CT 중첩 비교 사진입니다.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비대칭의 재발(회귀)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이미지 설명: 수술 직후(좌)와 수술 후 5개월(우)의 CT 중첩 비교 사진입니다.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비대칭의 재발(회귀)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결론: 지속 가능한 결과를 위한 집도의의 역할

성공적인 수술 결과가 오랫동안 지속되는 것은 집도의와 환자의 공동 노력으로 완성됩니다. 새로운 골격 구조에 주변 근육들이 조화롭게 적응할 수 있도록 개구연습을 포함한 근기능요법(MFT) 등 환자분의 적극적인 협조 역시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본 사례에서 보여드렸듯이, 수술 계획 단계에서부터 디지털 양악 시스템을 통해 골 결손 부위를 미리 예측하고, 해당 부위에 정밀한 골이식을 시행하여 안정적인 골격 기반을 마련하는 것은 결과의 지속성을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것이 바로 양악수술후비대칭 재발을 막고, 환자분께 오랜 시간 만족스러운 결과를 안겨드리기 위한 집도의의 중요한 역할이라 생각합니다.

양악수술 후 비대칭 재발 방지를 위한 골이식
양악수술 후 비대칭 재발 방지를 위한 골이식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