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남자 광대축소술 후 3년: 뼈의 변화는? (feat. 3년 후 CT 비교)

  • 작성자 사진: Dr. Park
    Dr. Park
  • 2024년 12월 14일
  • 2분 분량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박종철 원장입니다. 


오늘은 안면윤곽 3종 수술 후 3년이 지난 남자 환자분의 수술 직후와 3년 후 CT를 비교 분석하여, 광대뼈 변화에 초점을 맞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수술 전 분석
 안면윤곽 3종  술전
안면윤곽3종 술전
  • 턱끝이 미세하게 (1.91mm) 우측으로 치우쳐 있고, 좌우 광대 폭은 좌측이 2.4mm 더 넓습니다.

  • 사각턱 절제는 귓볼에서 약 20mm 아래에 각이 위치하도록 계획했습니다.

  • 환자분은 턱끝 비대칭, 긴 얼굴, 큰 광대 개선을 원하셨습니다.


수술 계획
  • 턱끝 T절골술: 길이 5mm 감소, 2mm 전진 (2mm 금속판 사용), 폭 3mm 축소

  • 사각턱 절제술: 최대한 각을 살려 하악각 절제 (귓볼 기준 20mm 하방), 비대칭 개선 위한 피질골 절제

  • 광대축소술: 45도 골절제량 3mm, 이동량 (금속판 기준) 45도 광대 3mm, 옆광대 6mm 축소


수술 전후 3년 이미지 비교
안면윤곽 3종 수술 후 3년이 지난 남자 환자분의 수술 직후와 3년 후 CT를 비교 분석
안면윤곽 수술 전후 3년 ct 이미지

수술 전후 사진만으로는 큰 변화를 느끼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안면윤곽 수술 전후 3년 ct 이미지
안면윤곽 수술 전후 3년 연조직 이미지

3년 후 연조직 이미지를 보면, 빨간 사각형으로 표시된 부분에서 얼굴이 짧아지고 폭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목은 더 두꺼워 보입니다.

45도 측면 사진에서 빨간색 직선을 기준으로 얼굴 길이가 짧아진 것을 명확히 볼 수 있습니다.

안면윤곽 45도 측면 ct 이미지
안면윤곽 45도 측면 ct 이미지
안면윤곽 45도 측면 ct 이미지
안면윤곽 45도 측면 연조직 이미지

측면 사진에서는 하악각이 수술 전보다 살짝 위로 이동하고 턱끝은 수직 길이가 짧아지고 앞으로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면윤곽측면이미지
안면윤곽 측면이미지
안면윤곽 측면이미지
안면윤곽측면이미지
광대축소술 3년 후: 뼈는 어떻게 변했을까?
  • 정면 CT: 수술 직후와 비교했을 때 뼈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습니다. 광대뼈 폭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광대축소술 직후 술후 3년 비교
광대축소술 직후 술후 3년 비교
  • 45도 CT: 빨간색 화살표로 표시된 절골 부위가 매끄럽게 유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광대축소술 3년 ct 절골부 변화이미지
광대축소술 3년 ct 절골부 변화이미지
  • 수술 직후 vs 3년 후 CT: 두 이미지를 중첩해 보니 3년 후 광대뼈 폭이 미세하게 넓어졌습니다. 눈으로는 구분하기 어려운 정도의 변화입니다.

광대축소술후 3년 ct 비교
광대축소술후 3년 ct 비교
옆광대축소술 술후 3년 비교
옆광대축소술 술후 3년 비교
  • 옆광대 변화: 옆광대 부위에서는 금속판 위로 뼈가 덮인 것을 확인했습니다. (빨간 화살표 부위)

옆광대 변화 양상 3년경과
옆광대 변화 양상 3년경과
옆광대 축소술 후 단차는 어떻게 될까?

이 환자분의 경우 옆광대 축소술 시 발생하는 단차 부위를 따로 갈아내지 않았습니다. (빨간 점선 부위)

옆광대 축소술 후 단차
옆광대 축소술 후 단차

3년 후 연조직에서 해당 부위가 매끄러운 것을 확인했습니다.

옆광대 축소술 3년후 단차비교
옆광대 축소술 3년후 단차비교

이번 증례를 통해 옆광대 축소술 후 단차 부위를 갈아내지 않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뼈가 재생되면서 자연스럽게 매끄러워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남자 광대축소술, 3년 후에도 안전할까?

네, 3년 후 CT 분석 결과를 통해 광대뼈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수술 부위도 잘 아물었음을 확인했습니다.


결론

남자 광대축소술 후 3년 동안 뼈의 변화를 CT 분석을 통해 확인해 보았습니다. 옆광대 축소술 시 단차 부위를 제거하지 않아도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매끄러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댓글


bottom of page